연봉협상의 시즌이 다가온 것 같습니다. 이미 연봉협상을 하셨거나 연봉협상을 준비하고 계신 분들은 본인이 실수령할 수 있는 금액이 얼마인지를 가장 궁금해하실 것 같은데요, 연봉별 세전월급·공제내용(세금)·실수령액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3년 4대 보험 요율
연봉 실수령액을 알기 위해 우선 직장인들의 4대 보험 요율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국민연금 : 소득총액 × 4.5%
- 건강보험 : 보수월액 × 3.545%
- 장기요양보험 : 건강보험 × 12.81%
- 고용보험 : 소득월액 × 0.9%
2023년 연봉 실수령액표
연봉 수령액표는 500만원 단위로 끊어서 작성했고, 공제합계는 국민연금·건강보험·장기요양보험·고용보험·소득세·지방소득세를 합쳐서 계산했습니다.
2023년 연봉 실수령액 (단위 : 원) | |||
연봉 | 실수령액 | 공제합계 | 월급 (세전) |
25,000,000 | 1,863,219 | 220,114 | 2,083,333 |
30,000,000 | 2,219,229 | 280,771 | 2,500,000 |
35,000,000 | 2,558,134 | 358,533 | 2,916,667 |
40,000,000 | 2,887,799 | 445,535 | 3,333,333 |
45,000,000 | 3,208,817 | 541,183 | 3,750,000 |
50,000,000 | 3,519,475 | 647,192 | 4,166,667 |
55,000,000 | 3,831,825 | 751,509 | 4,583,333 |
60,000,000 | 4,144,230 | 855,770 | 5,000,000 |
65,000,000 | 4,460,321 | 956,346 | 5,416,667 |
70,000,000 | 4,764,916 | 1,068,418 | 5,833,333 |
75,000,000 | 5,029,081 | 1,220,919 | 6,250,000 |
80,000,000 | 5,320,560 | 1,346,107 | 6,666,667 |
85,000,000 | 5,612,028 | 1,471,306 | 7,083,333 |
90,000,000 | 5,903,506 | 1,596.494 | 7,500,000 |
95,000,000 | 6,199,968 | 1,716,699 | 7,916,667 |
100,000,000 | 6,491,436 | 1,841,898 | 8,333,333 |
국민연금의 소득총액 상한액이 553만원으로 대략 6,500 ~ 7,000만원 대부터 그 위로는 국민연금이 동일하게 유지됩니다.
연봉이 1억이 되어도 월급 실수령액이 650만원을 넘지 못하는데요, 이처럼 실수령액을 모르는 채 연봉협상을 하셔서 단순히 협상된 금액으로 월급을 책정하시면 안 된다는 걸 보실 수 있습니다. 월급 실수령액 500만원을 받으려면 무려 연봉이 7,500만원으로 책정되어 있는데요, 정말 열심히 벌어야겠습니다,,,,,,
+
추가로 2023년 최저임금이 어떻게 책정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회사, 인턴, 아르바이트 등 계약서를 작성하실 때 참고하시면 좋을 내용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3년 적용 최저임금
- 시급 : 9,620원 (전년대비 460원 상승)
- 일급 : 76,960원 (일 8시간 기준)
- 월급 : 2,010,580원 (주 40시간, 유급주휴 8시간 포함)
- 연봉 : 24,126,960원
올해 최저임금이 전년대비 5% 상승한 9,620원으로 책정되었고, 주 40시간으로 계산하여 최소 월급 2,010,580원, 연봉으로 책정 시 24,126,960원으로 정해져 있으니 계약서 작성하실 때 참고하셔서 헷갈리지 않으시길 바랍니다.
최저임금 예외사항으로는 근로자의 수습기간이 있는데요, 3개월 이내로 최저임금의 10%를 감액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근로계약 기간이 1년 미만이거나 단순 노무직 근로자의 경우는 예외니 참고하세요.
요즘 경기가 많이 안 좋아져서 경제적인 부분에서 걱정이 많습니다. 특히 직장인에게는 연봉으로 직격탄을 맞는데요, 최소한 본인이 받는 연봉이 어떻게 책정되어 있는지 확인하셔서 계약서 작성 시 좀 더 유리한 연봉협상이 되시길 바랍니다.
'소소한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인정보 유출> 확인하는 3가지 방법 (0) | 2023.02.11 |
---|---|
톨게이트 <하이패스> 무단통과 시 대처 방법 (+하이패스 소지자 일반 요금소 사용 방법) (0) | 2023.02.04 |
연 3%대 고정금리 <특례보금자리론> 1년 동안 한시적 운영 총정리 (0) | 2023.01.30 |
헷갈리는 <실내 마스크 착용 해제> 한눈에 보기 (0) | 2023.01.30 |
난방비 <가스비 절약 방법> 절약하는 7가지 팁 (2) | 2023.01.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