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소한 생활 정보

만 나이 계산 <만 나이 통일법 시행> 한눈에 보기

by 라곰하우스 2023. 6. 26.
반응형

2023년 6월 28일부터 만 나이로 통일하는 제도가 실시됩니다. 현재 대한민국의 나이계산법은 태어나서 한 살이 되는 연 나이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즉, 기존에는 태어나면 1세였지만, 변경되면서 0세가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보통 나이를 서로 물어볼 때의 연 나이와 회원가입이나 법, 지원 등에 적용할 때는 만 나이로 적용되어 헷갈리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번에 적용되는 '만 나이 통일법 시행'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CONTENT

  1. 만 나이 통일법 시행 이유
  2. 만 나이 계산법
  3. 일상생활 적용

 

1. 만 나이 통일법 시행 이유

우리 일상에서 나이로 인해 헷갈리는 부분이 많이 생기는데요, 이를 해소하기 위해 시행되는 제도라고 보시면 됩니다.

  • 특별한 규정이 없으면 법령, 문서, 공고 등에 표기되는 나이는 '만'자가 없어도 만 나이를 의미 (00세 = 만 00세)
  • 한국식 나이, 만 나이, 연 나이로 인해 생기는 법령, 문서, 공고 등에서의 법적 다툼이나 민원 해소 기대
반응형

2. 만 나이 계산법

구분 내용 계산 공식
올해 생일이
지났다면
[이번 연도]에서 [태어난 연도]빼기 2023(이번 연도) - 1990(태어난 연도) = 33살
생일이 지나지
않았다면
[이번 연도]에서 [태어난 연도]를 빼고
추가로 [1살]빼기
2023(이번 연도) - 1990(태어난 연도) - 1 = 32살

만 나이 계산법 예시

  • 1985년 3월 22일 생 = 2023 - 1985 = 38살
  • 1992년 7월 4일 생 = 2023 - 1992 - 1 = 30살
  • 2004년 5월 16일 생 = 2023 - 2004 = 19살
  • 2014년 10월 25일 생 = 2023 - 2014 - 1 = 8살

 

3. 일상생활 적용

구분 내용 만 나이 기준
기초연금 기초연금을 신청할 수 있는 나이 65세
권장기준 연령대 별 권장 섭취, 권장 사용, 관람이용가 등 기준 12세, 18세 등
버스요금 버스요금이 면제되는 나이 기준 5세
음주 및 흡연 2023년 기준 2004년생 음주 및 흡연 가능 19세
경로우대 경로 우대 혜택을 받을 수 있느 나이 기준 65세
근로자 정년 근로자가 최대로 일할 수 있는 근로 정년 60세
선거권 대통령, 국회의원 등 선거권을 가질 수 있는 나이 18세
  • 「청소년보호법 제2조 (정의)를 보면 "청소년"이란 만 19세 미만인 사람을 말한다. 다만, 만 19세가 되는 해의 1월 1일을 맞이한 사람은 제외한다.」의 문구를 통해 사실상 연 나이로 친다고 해도 2004년생은 2023년부터 음주 및 흡연이 가능합니다.
  • 친구나 동료 등 만 나이 적용으로 생일에 따라 나이가 다르게 느껴질 수 있지만, 굳이 호칭을 다르게 쓸 필요는 없습니다.

 


 

나이를 물어볼 때 나이가 아닌 몇 년생인지 얘기하거나, 빠른 생일로 인해 친구관계가 꼬인다는 표현을 많이 보셨을 것입니다. 사회적 분위기가 현재까지 자연스럽게 이어지면서 어쩔 수 없는 부분으로 서로 이해하고 넘어갔었는데요, '만 나이 통일법 시행'이 실시되면서부터 이러한 분위기가 자연스럽게 정리되고, 한두 살 차이를 엄격하게 따지는 우리나라의 서열문화도 점점 사라져 세대를 통하는 유연한 소통관계가 만들어질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