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기요금, 가스요금 상승에 따라 우리가 사용하는 가정, 상가, 사무실 등에서의 관리비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여파로 관리비 미납률이 늘고 있다고 하는데요, 갑작스러운 관리비 상승은 이러한 다양한 여파를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조금이라도 관리요금을 줄여보고자 많은 절약 방법이 제시되고 있는데요, 이번에는 가정, 상가, 사무실 등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기료 줄이는 3가지 방법'을 에너지 절감량과 연결하여 얼마나 절약할 수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CONTENT
- 가정용 절감 방법
- 상가용 절감 방법
- 사무실용 절감 방법
- 에너지 캐시백
- 실시간 전기사용량 및 요금 확인 방법
1. 가정용 절감 방법
절감 방법 | 내용 | 에너지 절감량(일) |
1. 에어컨 | 에어컨 설정온도 1˚C 높이고, 여름철 실내 적정온도 26˚C 유지하기 | 0.41 kWh |
2. 조명 | 사용하지 않는 조명 소등하기 | 0.36 kWh |
3. 플러그 | 사용하지 않는 전자제품 플러그 뽑기 | 0.32 kWh |
4. 전자레인지 | 얼어있는 음식 및 재료 자연해동 후 사용하기 | 0.19 kWh |
5. 비데 | 자동으로 사용되는 온열기능 끄기 | 0.1 kWh |
6. 세탁기 | 세탁물은 한번에 모아서 사용하기 | 0.09 kWh |
7. 전기밥솥 | 한번 사용할 때 먹을 양만큼 만들어 보온시간 최소화 | 0.06 kWh |
8. 에너지소비효율 | 에너지소비효율 1등급 제품 사용하기 | 1.08 kWh |
9. 옷차림 | 시원한 차림으로 쿨맵시 실천하기 | 0.81 kWh |
10. 고효율 조명 | LED 등 고효율 조명 사용하기 | 0.54 kWh |
가구당 월평균 전력사용량 기준으로 하루 1kWh, 한달 30kWh 절감은
한달 전력사용량 10%, 전기요금 13% 절감의 효과를 가져온다고 합니다.
반응형
2. 상가용 절감 방법
절감 방법 | 내용 | 에너지 절감량(일) |
1. 간판, 진열장 | 영업시간 외 간판, 진열장 등 조명 소등하기 | 13.02 kWh |
2. 창가 조명 | 낮시간 창가 조명 소등하고 자연 채광 이용하기 | 1.60 kWh |
3. 센서등 | 화장실, 복도, 탈의실 조명은 센서로 점·소등하기 | 1.28 kWh |
4. 냉방사용 | 문 닫고 냉방하기 | 4.41 kWh |
5. 영업 종료시 | 영업 종료 1시간 전 냉방 끄기 | 3.82 kWh |
6. 적정온도 | 에어컨 설정온도 1˚C 높이고, 여름철 실내 적정온도 26˚C 유지하기 | 1.77 kWh |
7. 냉장고 | 개방형 냉장고는 문을 달아 냉방 효율 올리기 | 26.19 kWh |
8. 고효율 조명 | LED 등 고효율 조명 사용하기 | 12.29 kWh |
·
해당 방법 8가지를 모두 실천하면 종합소매업 203㎡매장의
월평균 전력사용량 기준으로 하루 64kWh, 한달 1,778kWh 절감은
한달 전력사용량 40%, 전기요금 36% 절감의 효과를 가져온다고 합니다.
3. 사무실용 절감 방법
절감 방법 | 내용 | 에너지 절감량(일) |
효율적 냉방 | 점심, 퇴근 1시간 전에 냉방 끄기 | 3.20 kWh |
쿨맵시를 실천하여 몸의 온도 낮추기 | 1.20 kWh | |
여름철 실내온도 26˚C 유지하기 | 0.60 kWh | |
에어컨 필터 청소로 에어컨 효율 올리기 | 0.13 kWh | |
에너지 전원 절약 | 프린터, 복사기 1대 줄이기 | 1.05 kWh |
퇴근 시 냉온수기 전원 끄기 | 0.69 kWh | |
LED 등 고효율 조명 사용하기 | 0.26 kWh | |
비데 온열기능 끄기 | 0.10 kWh | |
점심시간 조명 소등 | 0.07 kWh | |
컴퓨터는 절전모드 사용 | 0.03 kWh | |
사용하지 않는 사무기기 전원 차단 | 0.02 kWh |
추가적으로 출근길에서 할 수 있는 현명한 절약 생활은 다음과 같습니다.
- 대중교통 이용
- 경제운전 생활화
- 4층 이하 계단 이용
- 인쇄용지 사용 줄이기
- 1회용품 사용 줄이기
4. 에너지 캐시백
- 참여대상 : 아파트 및 일반주택 개별세대
- 온라인 신청 및 방법 : 2023년 6월 7일(수) 부터 (QR 코드 스캔 / 구글, 네이버에서 '한전 에너지캐시백' 검색)
- 한전 사업소 방문 신청 및 방법 : 2023년 7월 부터 (한전:ON 별도 공지)
- 지급액 기준 : 4인 가구 평균으로 월 332kWh 사용기준, 전기요금 66,590원 일 때 기준입니다.
절감률 | 캐시백 | 전기요금 절감액 | 최종혜택 | 비고 |
10% (34kWh) | 2,720원 | 8,840원 | 11,560원 | 요금 인상 전보다 8,540원 요금 감소 |
20% (67kWh) | 6,700원 | 17,410원 | 24,110원 | 요금 인상 전보다 21,090원 요금 감소 |
30% (100kWh) | 10,000원 | 25,990원 | 35,990원 | 요금 인상 전보다 32,970원 요금 감소 |
5. 실시간 전기사용량 및 요금 확인 방법
구분 | 확인 방법 | 내용 |
전기요금이 아파트 등 관리비에 합산 청구되는 세대 |
월패드(Wall Pad) 이용 |
세대내 월패드로 실시간 전기사용량 확인 (기기에 따라 모바일기기 전용앱으로도 확인되거나, 실시간 요금을 제공하는 기기도 있음) |
민간 '스마트전력 플랫폼' 앱 이용 |
아파트 관리사무소에 '스마트전력 플랫폼' 사업 참여여부 문의, 참여 시 시행사업자 확인 후 해당 앱 설치하여 실시간 전기사용량 확인 | |
계량기 지침 이용하여 계산 |
계량기 지침을 통한 실시간 전력 사용량 확인 후, 한전 사이버지점 「전기요금계산기」로 계산 (실시간 전력사용량 = 현재 계량기 지침 - 전월 검침일 지침) |
|
한국전력공사에서 전기요금이 청구되는 세대 |
한전 "파워플래너 앱" 이용 |
한전의 원격검침계량기(AMI)가 설치된 가구는 "파워플래너 앱"으로 실시간 전기사용량·요금 확인 (유튜브에서 '파워플래너'를 검색하여 이용안내 영상 참고) |
계량기 지침 이용하여 계산 |
계량기 지침을 통한 실시간 전력 사용량 확인 후, 한전 사이버지점 「전기요금계산기」로 계산 (실시간 전력사용량 = 현재 계량기 지침 - 전월 검침일 지침) |
예상한 것보다 관리비가 많이 나와 아파트에서 관리비 미납세대가 많으니 확인해달라는 방송을 들었습니다. 생활에서 고정비로 잡히는 관리비는 무조건 나가는 금액인데요, 이를 줄인다면 경제적으로 많은 도움이 되겠지만 관리비 상승으로 인해 이마저도 어려운 상황입니다. 그래서 이번에 알려드린 전기요금 줄이는 방법을 참고하셔서 관리비를 최대한 줄여보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소소한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 나이 계산 <만 나이 통일법 시행> 한눈에 보기 (0) | 2023.06.26 |
---|---|
전기차 주차 벌금 <전기차 충전 방해 과태료> 한눈에 보기 (0) | 2023.06.24 |
서울시 <어르신 건강동행사업> 한눈에 보기 (2) | 2023.06.15 |
다이어트꿀팁 <당 적은 과일 7가지> 한눈에 보기 (0) | 2023.06.13 |
서울시 <치매 어르신 스마트지킴이> 한눈에 보기 (0) | 2023.05.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