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상에서 꼭 소비해야 되는 고정비용이라는 게 있습니다. 식비, 집세, 생활비 등 한 달에 꼭 들어가는 비용이 이에 해당되는데요, 그 중 직장인들에게 필수 고정비용인 교통비를 절약하는 방법이 있다고 하는데요, 대중교통 이용 시 이동거리만큼 마일리지를 지급해주는 <알뜰교통카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CONTENT
- 알뜰교통카드란?
-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
- 마일리지 지급 기준 및 방법
- 마일리지 적립 방법
- 알뜰교통카드 발급 및 사용 절차
1. 알뜰교통카드란?
- 할인 혜택 : 대중교통 이용 시 이동거리(보행, 자건거 등)만큼 마일리지를 최대 20% 지급, 카드사 추가할인 10%를 포함하여 최대 30%까지 교통비 절약 가능
- 발급조건 : 지자체에 주소지를 두고 있는 만 19세 이상 시민
2.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
대중교통요금과 이동거리에 비례하고 일반, 청년, 저소득층에 따라 마일리지가 차등 적립됩니다.
- 이동거리 확인 불가 시 최소 마일리지(50원) 지급
- 미세먼지 저감조치 발령일, 환경·교통 관련 기념일 마일리지 2배 지급
기본 마일리지 | 2,000원 미만 | 2,000~3,000원 미만 | 3,000원 이상 | 비고 |
일반층 | 250원 | 350원 | 450원 | 이동거리 800m 기준 (800m 미만 시 거리 비례 지급) |
청년층* | 350원 | 500원 | 650원 | |
저소득층** | 700원 | 900원 | 1,100원 |
* 「청년기본법」에 따른 만 19세~34세
** 「기초생활보장법」에 따른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반응형
3. 마일리지 지급 기준 및 방법
구분 | 내용 | 비고 |
마일리지 지급 기준 |
월 대중교통 15회 이상 이용 시 최대 60회까지 지급 | - 가입 첫 달의 경우 15회 미만도 적립액 지급 - 60회 이상 이용 시 적립금이 많은 순으로 60회에 대한 적립 금액 지급 |
마일리지 지급 방법 |
알뜰교통카드 사용 익월에 청구 할인(신용카드) / 계좌 입금 (체크카드) / 충전 (모바일선불카드)방식 등 카드사의 지급 방식에 따라 지급 |
- 카드사 추가 혜택 별도 지급 - 하나카드의 경우 알뜰교통카드 사용 2개월 후에 마일리지 지급 |
4. 마일리지 적립 방법
① 적립 방법
- 출발지에서 앱을 실행해 출발하기 버튼 클릭
- 대중교통 승차 시 교통카드 태그
- 대중교통 하차 시 교통카드 태그
- 목적지에 도착 한 후 앱의 도착 버튼 클릭
② 적립 산출 방법
마일리지 적립 방법 | 내용 | 비고 |
적립 산출 방법 | 출발·도착 입력, 즐겨찾기 등록, 도보수로 산출된 마일리지 중 가장 큰 금액으로 적립 | |
① 출발·도착 입력 시 출발 위치 ~ 승차정류장 위치와 하자정류장 위치 ~ 도착 위치 직선거리의 1.3배 적립 | 출발·도착 미입력 시 최소 마일리지(50원)가 적립 |
|
② 즐겨찾기 등록 시 등록된 출발 및 도착 위치와 승·하차정류장 위치의 직선거리의 1.3배 적립 | 미등록 정류장 이용 시 최소 마일리지(50원)가 적립 |
|
③ 신체활동, 건강 등 도보수 수집 권한 허용 시 대중교통 이용을 위해 이동한 15분 도보수에 평균 도보거리를 적용하여 산출 | 도보수 체크 기능이 없는 경우 마일리지가 산출되지 않음 |
5. 알뜰교통카드 발급 및 사용절차
사용절차 | 비고 |
① 알뜰교통카드 발급 | 신한, 우리, 하나, 삼성, KB국민, 현대, NH농협, BC(IBK 기업은행, 광주은행, 케이뱅크, 바로카드), 캐시비, DGB유페이 (티머니는 신규 발급 중단) |
② 알뜰교통카드 앱 설치 | 구글 play 스토어, 애플 앱스토어, 삼성 갤럭시스토어, 원스토어 |
③ 알뜰교통카드 앱 또는 홈페이지 회원가입 | 주소지 검증은 주민등록번호 인증(등, 초본 불필요), 저소득 증빙 자료는 별도 제출 |
④ 대중교통 이용 시 알뜰교통카드로 결제 | 출발 및 도착 위치 카드 태그 |
⑤ 마일리지 적립 방식에 따라 마일리지 산정 | 카드사 정보 수신 시기에 따라 3~10일 정도 소요 (지역 별로 상이) |
⑥ 15회 이상 이용 시 마일리지 지급 | 월 최소 15회 이상 최대 60회까지 마일리지 적립 |
- 후불형 (신용, 체크카드) : 신한, 우리, 하나카드사에서 발급 가능
- 선불형 (모바일카드) : 모바일 캐시비, 원패스앱 회원가입 후 발급 가능 (안드로이드 스마트폰만 가능)
직장인들에게 필수 고정비용인 교통비 지출에 부담이 큰 서민의 교통비를 절감하고, 보행 및 자전거 등 친환경 교통수단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알뜰교통카드>는 그에 맞는 보상으로 개인의 대중교통 이용을 장려하고 유도하는 방법이라고 생각됩니다. 최대 30%라는 적지 않은 혜택이 있는 만큼 대중교통을 이용하시는 분들은 무조건 사용하시는 것이 좋다고 생각되니 내용 숙지하셔서 적절하게 활용해 보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소소한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시 <장애인 버스요금 지원> 한눈에 보기 (0) | 2023.07.04 |
---|---|
지하철 재승차 <지하철 10분 내 재승차 무료> 한눈에 보기 (0) | 2023.07.02 |
만 나이 계산 <만 나이 통일법 시행> 한눈에 보기 (0) | 2023.06.26 |
전기차 주차 벌금 <전기차 충전 방해 과태료> 한눈에 보기 (0) | 2023.06.24 |
전기요금 <전기료 줄이는 3가지 방법> 한눈에 보기 (0) | 2023.06.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