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소한 생활 정보

생활꿀팁 <이사할 때 챙겨야 할 체크리스트> 한눈에 보기

by 라곰하우스 2024. 3. 11.
반응형

새해와 새 학기가 다가오며 새로운 집이나 자취방을 구하기 위해 이사할 경우가 생기는데요, 이삿날을 잡는 것부터 공과금 정리, 전입신고 등 해야 될 것이 너무 많습니다. 이사 전 집 정리부터 이사 후 챙겨야 할 것이 많아 골치가 아픈데요, 이사할 때 이것만 챙겨도 될 체크리스트를 이사 전, 후로 나눠 자세히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입주 전 사전점검 중대하자 체크리스트)

 

CONTENT

  1. 이사 전 체크리스트
  2. 이사 후 체크리스트

 

1. 이사 전 체크리스트

1. 관리주체(관리사무소 등)에 이사 사실 사전 통지

이사를 위해 승강기 사용이나 이삿짐트럭을 위한 주차공간, 사다리차 진입 공간, 이삿짐 이동 공간 확보 등 이사할 때 다른 주변 세대의 협조를 미리 구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관리주체에게 미리 알려 사전에 협조할 필요가 있습니다.

반응형

2. 공과금 정산하기(명의변경 포함)

전기는 전력사용지침을 한전에 신고 후 요금 정산 / 도시가스는 도시가스 회사에 요청해 가스레인지 및 중간밸브 철거 신청 후 사용요금 정산 / 상하수도는 이용기간과 사용량을 일할계산으로 계산해 요금 정산 / 아파트 등 관리주체의 관리비 등 요금 정산 및 납부와 이사로 인한 명의변경을 신청해야 합니다.

 

3. 배달 중지 요청

달마다 요금이 나가거나 개수 당 요금이 정산되는 신문, 우유, 학습지, 배달식품 등이 오배송되어 비용이 청구되지 않도록  정기적으로 집까지 배달되는 물품들을 배달 중지 및 변경 요청이 필요합니다.

 

4. 이사 갈 집 구조 파악

이사 갈 집의 방 크기 및 가구배치, 창문 위치, 콘센트 위치, 빌트인 가구 등 집의 구조를 사전에 파악해 이사할 때 한 번에 정리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2.  이사 후 체크리스트

1. 전입신고 및 확정일자 받기

새로운 거주지로 이사한 날부터 14일 이내에 새로운 거주지에 대해 전입신고를 해야됩니다. 그리고 전세나 월세 세입자의 경우 전입신고와 더불어 임대차계약서상 확정일자를 받아두는 것이 좋은데요, 보증금에 대한 임차권 대항력과 우선변제권이 생기기 때문에 법률상으로 보증금을 지킬 수 있습니다.

 

2. 주소 변경하기

우체국에 주소 이전 신고 및 각종 은행과 신용카드 등 배송을 위해 등록된 주소지 변경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3. 새로운 집 관리주체 방문

관리비에 포함된 내역 및 납부방법, 주차를 위한 차량 등록, 주민 등록 및 세대카톡방 정보 등 다양한 새로운 집에 대한 각종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관리주체(관리사무소 등)의 방문이 필요합니다.

 


 

이사가 흔하게 있는 일이 아니다 보니 이사할 때 어떤 것을 해야 되는지 막막하기만 합니다. 특히 새로운 집뿐만이 아닌 이전 집에 대한 정산 및 정리가 필요해서 헷갈릴 수 있는데요, 이번에 알려드린 이사 전·후 체크리스트를 참고하셔서 최소한 놓치지 말아야 할 부분을 챙겨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