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에서 청년 중증장애인들이 자산을 만들어 스스로 자립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애인 누림통장' 신청을 내일(4월 10일)부터 5월 8일(월)까지 받는다고 합니다. 경기도에 사는 장애인복지법상 '정도가 심한 장애인' 중 만 19세부터 21세(2002년 1월 1일 ~ 2004년 12월 31일 생)에 해당하면 누구나 신청가능한데요, 어떻게 신청하는지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nIGpS/btr821buujG/ifk3ft3rRk1z6ogG4JG9l1/img.png)
신청 개요
- 신청기간 : 2023년 4월 10일(월) ~ 5월 8일(월)
- 신청인 : 본인, 대리인(대리인 신분증 지참 - 직계존속, 주민등록상 같이 살고 있는 형제·자매, 장애인을 보호하고 있는 사회복지시설장 등)
- 지원기간 : 2년(24개월) - 대상자 선정 후 통지된 처음 납입한 날이 포함된 달부터 24개월
- 신청방법 :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접수
인터넷 접수가 아닌 직접 방문접수임으로 마감일 이후로 신청할 수 없다고 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지원내용
2년 동안 월 10만원 이내 1:1 매칭적립 해줘서 가입자 적립금+경기도 지원금+이자로 최대 500만원의 자산형성을 해주는 사업입니다.
구분 | 입금 및 적립금 | 비고 |
가입자 | 매월 1만원 이상 10만원 이하 입금 | 1만원 단위 입금 |
경기도 | 매월 적립금에 따른 매칭지원금 입금 | 10만원 입금 시 10만원 적립, 5만원 입금 시 5만원 적립 |
- 적립 및 교육 이수 여부 등에 따라 차등 지급
- 중도해지 또는 교육 미이수 시 도·시군 지원금 미지급 (교육 이수 관련하여 누림센터에서 확인 후 각자 안내)
- 24개월 중 장기간 적립 내역이 없더라도 계좌 유지 시 지원금 지급 (1~10회 적립 후 11~24회 적립하지 않았더라도 중도해지 하지 않을 경우 만기해지로 분류하여 적립액 및 지원금 지급)
지원대상
지원대상자는 아래 요건 3가지에 모두 해당하는 분으로 유사 자산형성지원사업 가입자(지원종료자 포함)는 중복지원이 불가합니다.
- 지원기간(24개월간)동안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경기도인 사람
- 만 19세부터 21세(2002년 1월 1일 ~ 2004년 12월 31일 생)
- 장애등록장애인 중 종합 장애정도가 심한 장애인
※ 유사 자산형성지원사업 리스트
(복지부) 희망키움·내일키움·청년희망키움통장, 청년저축계좌, 희망저축계좌, 청년내일저축계좌 (고용노 동부) 청년내일채움공제, (중소벤처기업부)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통일부) 미래행복통장 (경기도) 일 하는 청년통장, 청년연금, 청년마이스터 통장 (서울) 희망두배 청년통장, 이룸통장(장애인), (인천) 행복씨앗통장(장애인), (부산) 청년희망날개통장 (대구) 청년희망적금, (광주) 청년13통장, (대전) 청년희망통장, (강원) 일자리안심공제 (전남) 전남 청년희망디딤돌통장, 일하는 순천청년희망통장, 영광 청년 희망 디딤돌 통장 (제주) 제주일자리 재형저축, 중소기업 장기재직 재형저축 등
신청서류
구분 | 제출서류 | 접수방법 |
사업 신청 | 1. 경기도 누림통장 참여신청서 1부 2. 신청자격 자가진단서 1부 3. 개인정보 수집·이용 및 제공동의서 1부 4. 주민등록초본, 장애인등록증(증명서) 각 1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확인 |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접수 |
지급 신청 | 1. 경기도 누림통장 해지 및 적립금 지급신청서 1부. 2. 주민등록 초본(가입일 및 해지일 포함) 1부 → 시·군 확인 3. 장애인등록증 사본 또는 장애인증명서 1부 → 시·군 확인 4. 지급 받을 통장(본인 명의) 사본 1부 | - 지급 희망자는 아래의 서류를 시·군으로 제출 - 신청방법 : 방문·우편접수 - 신청자 본인, 대리인 (직계존속, 주민등록상 함께 살고 있는 형제·자매, 시설장). 24개월 만기해지의 경우 만기일 다음 날부터 지급신청 가능 |
유의사항
- 장애인 누림통장 사업에 참여할 경우 유사 자산산형성지원사업에서 제외될 가능성이 있으며, 적립액을 받을 때 기초생활수급, 장애인연금 등 사회보장급여 자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중도해지 또는 누림센터에서 안내하는 자립역량강화 교육 미이수 시 지원금이 지급되지 않음
![](https://blog.kakaocdn.net/dn/qW5k1/btr8204ITTr/zuKs3O67tZIniclerYsR90/img.jpg)
이번 '장애인 누림통장' 사업은 별도의 소득 및 재산기준이 없어서 목돈을 원하시는 사업 요건에 해당되시는 분들께 꼭 필요한 사업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국가에서 진행하는 지원금으로 자산형성하는 목돈만들기 사업에 중복참여할 수 없는데요, 이번 사업에 관심이 있는 분들은 해당 사업과 다른 사업 간의 비교를 통해 어떤 것이 더 이득이 되는지 판단하셔서 신청을 추천드립니다.
'소소한 지원금 받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경기도 <중소기업 청년 노동자 지원사업> 한눈에 보기 (0) | 2023.04.26 |
---|---|
서울시민 자동 가입 <서울 시민안전보험> 보장내용 한눈에 보기 (0) | 2023.04.19 |
2023년 경기도 <청년 복지포인트(1년간 120만원)> 한눈에 보기 (0) | 2023.04.08 |
서울시 <무급휴직 근로자 지원금> 한눈에 보기 (0) | 2023.04.07 |
2023년 경기도 <경기여성 취업지원금 모집> 한눈에 보기 (0) | 2023.04.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