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소한 지원금 받기84

군적금 <장병내일준비적금> 총정리(신청방법, 금리비교, 매칭지원금) 2023년부터 국방부는 군인 청년들의 전역 후 목돈 마련을 위해 있는 에 대하여 정부 재정지원금을 지난해 원리금의 33%인 최대 14만원에서 그 두 배 이상으로 71%인 30만원으로 인상한다고 밝혔습니다. 가입은 입대한 후 아무 때나 가입이 가능하니 입대 예정인 청년들이나 이미 입대하여 군인신분인 청년들은 꼭 가입해서 전역 시 목돈을 챙겨가는 필수 조건이 아닐까 합니다. 가입대상 대한민국 병역의무 이행자로, 현역병, 상근예비역, 사회복무요원, 의무경찰, 의무해양경찰, 의무소방, 대체복무요원으로 잔여복무 기간이 6개월 이상남은 자에 한해 가입이 가능합니다. 가입기간 : 최소 6개월 이상 최대 24개월 가입한도 : 은행별 월 20만원, 개인별 최대 월 40만원 (은행별 1인 1 계좌만 가입이 가능) 가입혜택.. 2023. 1. 26.
2년 동안 매월 받는 <서울 안심소득> 한눈에 보기(자격기준, 신청방법, 선정방법, 지원금 액수) 서울시는 은 소득이 적을수록 더 많이 지원하는 지원사업으로, 최종 선정된 가구는 2023년 7월부터 2년 동안 안심소득을 지원받고, 비교집단과 함께 4년 동안 사업효과를 분석하는 연구사업에 참여하게 됩니다. 지난해 소득기준이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500세대를 선정하여 1단계 시범사업으로 진행한 데에 이어, 올해 연휴가 끝나는 1월 25일부터 중위소득 85% 이하면서 재산이 3억 2,600만원 이하인 가구로 범위를 확대하여 2단계 사업으로 1,100세대를 다시 모집한다고 합니다. 자격기준과 일정, 신청방법이 어떻게 되는지 자세히 알아보겟습니다. 자격기준 사업공고일인 1월 9일 기준으로 주민등록상 서울시에 거주하면서 소득과 재산기준을 동시에 충족하는 가구라면 누구나 접수가능 중위소득 50% 이하 500.. 2023. 1. 22.
서울시 <대학(원)생 학자금대출이자 지원> 총정리(일정 및 대상, 지원범위, 신청방법) 서울시가 내일[2023년 1월 18일 (수)]부터 2022년 하반기(7~12월)에 발생한 대학(원)생 학자금 대출이자를 지원한다고 합니다. 이 사업은 청년들의 대부분이 대학 등록금을 마련하기 위해 학자금 대출을 이용하고, 이는 사회초년생 때에 대출 및 이자를 갚기 위한 부채 문제를 경감해 주고자 한국장학재단과 업무협약을 체결하면서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신청일정 신청 및 접수 : 2023년 1월 18일 (수) 09:00 ~ 2023년 3월 6일 (월) 18:00까지 지원여부 및 상환금액 확인 : 2023년 6월 중순 예정 신청 및 접수 시 문의사항은 120 다산콜센터 (02-120)로 문의하시면 되고, 지원여부 및 금액 확인은 한국장학재단 누리집을 통해 신청한 대출계좌별로 지원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고 합.. 2023. 1. 17.
공공지원 <경기도 청소년 교통비 지원 사업> 총정리(신청기한, 지원금, 중복지원 가능여부) 경기도에서 청소년 교통비를 지원한다고 합니다. 신청기한은 2023년 1월 2일부터 시작하여 2월 15일에 종료가 됩니다. 2023년 2월 15일 (수) 18:00까지 신청 못하면 지원금을 그냥 날리게 되는 것이니 꼭 신청하여 받길 바랍니다. 참고로 경기도 지역화폐는 경기도지만 본인이 살고 있는 시·군 외에 사용이 불가합니다. 꼭 기억하세요. 지원사업개요 지원대상 : 경기도에 거주하는 만 13세~23세 청소년 지원금액 : 상반기 최대 6만원 / 하반기 최대 6만원 (연간 12만원 한도) 신청기간 : 2023년 1월 2일 ~ 2월 15일 / 7월 예정 신청자격 : 신청일에 주민등록상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으며 해당 기간 내 경기버스 등 대중교통을 이용한 청소년 지원범위 : 경기버스(시내, 마을) 이용실적과 경.. 2023. 1. 14.
육아지원금 <부모급여> 정부 지원금 총정리(조건 및 금액, 신청방법, 중복지급 가능여부) 우리나라의 저출산 현상이 날이 갈수록 심해지고 있는데요, 가장 큰 원인으로 매년 1등을 유지하고 있는 경제적인 부담이 눈에 띕니다. 그러므로 정부에서는 꾸준히 지원금에 대한 공략을 내세우고 있는데요, 이번 정부가 내놓은 공략으로 새롭게 발표된 육아정책인 2023년 부모급여(2022년 영아수당)에 대하여 어떻게 지원금을 받고, 대상에 따른 금액 지급, 중복 적용 가능여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부모급여 조건 정부에서는 올해부터 2024년까지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소득이나 재산에 따른 차등 지급에 대한 조건은 없는 것으로 보이며, 한가정 당 한 번만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눈에 띄는 내용은 금액이 늘어난 점과 어린이집을 다녀도 어린이집 비용 외의 차액을 지원받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먼저 금액 기준을 보.. 2023. 1. 12.
청년공약 <청년도약계좌> 총정리(가입조건, 혜택, 청년희망적금 비교, 일정) 청년도약계좌란? 2023년 6월 출시가 거의 확실시 된 청년도약계좌는 윤석열 대통령의 제20대 대통령 선거 국민의힘 정책공약집에 실려있는 금융상품으로, 연소득에 따라서 저축장려금을 지급하여 총 10년 동안 적금+저축장려금으로 최대 1억 만들기 통장이었습니다. 그러나 예산 문제로 인해 처음 공약과는 달리 최대 5천만원으로 축소되었습니다. 정부가 장려금을 월 3~6%씩 지급하며 매달 70만원 한도 내에서 비과세 이자가 붙는 방식으로 저축하여 5년간 최대 5천만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청년지원 사업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가입조건 만 19세~34세의 일하는 청년 (병역 기간 제외) 개인소득 연 6천만원 이하 + 가구 소득이 중위 180% 이하 (동시 충족) 매달 40~70만원 까지 의무가입기간 만기 5년 적.. 2023. 1.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