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4월부터 만 19세(2004년생) 청년을 대상으로 문화예술공연 관람이 가능한 <서울형 청년문화패스> 20만원 상당의 바우처로 지급한다고 합니다. 신청대상 및 지원내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신청대상
접수는 오는 4월 중으로 시작한다고 하고, 신청자 중에서 총 28,000명을 선정하여 지원한다고 합니다.
신청조건은 아래를 참고 부탁드립니다.
- 거주지 : 신청일 기준 주민등록상 / 외국인등록대장상 서울 거주
- 연령 : 만 19세 (2023년 기준 2004년생)
- 소득 : 건강보험료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중위소득 150% 정도면 대부분의 가구는 충분히 조건에 충족한다고 보이기 때문에 만 19세 청년들 누구나 신청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지원내용
지원은 만 19세 서울청년에게 생애 1회 지원합니다. 지원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 1인당 연간 20만원 상당 문화바우처(카드) 지급
- 공연예술 관람 (연극, 뮤지컬, 무용, 클래식, 전통예술 등) 지원 바우처 제공
공연 예매는 청년문화패스 전용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공연에 한해 예매가 가능하다고 하니 참고 바랍니다.
지원방법
서울시는 <서울형 청년문화패스> 바우처의 편리한 발급 및 사용을 위해 신한은행과 협약을 맺었다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신한은행 및 신한카드를 통해 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데요, 그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지원금 프로세스 | ||||
신한은행 지급계좌 개설 | ▶ | 신한플러스를 통해 신한 체크카드 발급 |
▶ | 20만원 상당의 문화패스 바우처 제공 |
신청 및 접수는 4월 중으로 가능하고, 선정결과 발표 5월 중으로 예정되어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청년몽땅정보통"에서 확인이 가능하고 추가적으로 업데이트 하도록 하겠습니다.
공공으로 예술분야를 지원하는 방식이 지금까지 보통 일방적으로 창작지원금을 지급하여 예술의 질을 올리는데 중점을 두었다면, 이번 공공지원은 예술분야 시장의 소비 자체를 지원하여 장기적으로 예술분야의 문화가 생활 속에 자리 잡게 만드는 역할을 하기 위한 방법이라고 생각됩니다. 단순히 소비를 위한 지원금이 아닌 문화예술 분야에만 소비할 수 있는 형태이기 때문에 예술분야를 지원하고, 동시에 청년들이 예술문화를 쉽게 접하는 방향을 제시한 것이 일석이조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소소한 지원금 받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전력공사 <에너지 캐쉬백> 한눈에 보기 (0) | 2023.02.23 |
---|---|
서울시 <퇴근길 가정행복 도시락 밀키트 할인지원> 한눈에 보기 (0) | 2023.02.22 |
2023 <청년내일채움공제 중도해지> 환급금 알아보기 (0) | 2023.02.06 |
2023 <청년내일채움공제> 한눈에 보기(지원내용 및 신청방법) (0) | 2023.02.05 |
조부모 돌봄 수당 <서울형 아이 돌봄비 지원> 한눈에 보기 (0) | 2023.02.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