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이라면 아침 출근길을 급하게 나설 때 화장실을 이용 못하고 나오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요, 지하철을 이용하면서 어쩔 수 없는 생리현상 때문에 식은땀을 흘려보신 경험이 다들 있으실 겁니다. 지하철을 타고 이동 중 화장실을 이용하려면 보통 지하철 역사에는 개찰구 밖에 화장실이 위치해 있기 때문에 보조 출입구에 용건을 말하고 임시로 왔다 갔다 해야 되는 번거로움과 부끄러움이 있는데요, 간혹 가다가 지하철 개찰구 안 화장실을 발견해 겨우 위기를 모면하곤 합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교통카드 찍고 나가거나, 역무원에게 부탁할 필요 없이 지하철 <개찰구 안 화장실> 찾는 방법을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방법 / 지하철 차량 내부 노선도 확인하는 방법 2가지 알려드리도록 할게요.
1.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방법
일상에서 대중교통 이용 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카카오맵 어플과 네이버지도 어플을 이용하여 찾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지하철 역명을 검색하거나, 지하철 노선도에서 직접 해당 역을 선택
2. 카카오맵은 [상세] / 네이버지도는 [하단바]를 클릭
3. 각 시설정보 및 역정보를 확인하여 화장실 위치 확인
지난 카카오사태로 카카오맵을 신뢰하지 못하시거나, 이미 카카오맵을 사용하지 않는 분들이 계실 수도 있어서 두 가지 어플 사용방법을 동시에 설명드렸습니다.
2. 지하철 차량 내부 노선도 확인하는 방법
너무 급해서 스마트폰을 검색할 여력도 없거나, 배터리가 부족하거나, 기기사용 미숙 등으로 스마트폰 사용이 어려운 상황에는 지하철 차량 내부 출입문 상부에 위치해 있는 노선도를 보면 지하철 역명 옆에 화장실 표시가 그려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 이 표시가 개찰구 안에 화장실이 위치한 지하철 역임으로 바로 확인할 수 있는 아날로그 방식의 확인하는 방법이니 이 표시를 보고 해당역으로 찾아가시면 될 것 같습니다.
급 생리현상은 꼭 한시가 급한 출근길에 신호가 오는 경우가 많은데요, 만원 지하철에서 사람들의 압박은 이런 급 생리현상을 참고 도착지까지 가기에는 엄청난 시련입니다. 아직 많이 보급되진 않았지만 가끔 가다가 화장실 사용만을 위한 화장실 전용 개찰구가 있는 지하철역도 가끔 보이는데요, 이러한 급 생리현상에 대해 지하철 관계자들도 인식하고 있다고 생각이 됩니다.
급 생리현상에 개찰구에서 역무원에게 화장실을 가려고 한다는 얘기를 하기에 많은 사람들이 몰리는 개찰구에서 부끄러움도 있고, 개찰구 밖으로 나가는 번거로움도 있어서 여러 가지 면으로 불편하다고 생각이 됩니다. 그러므로 이번에 알려드린 방법을 사용하셔서 출근길에 개찰구 안 화장실이 위치하는 역을 확인하시어 급박한 상황을 해결할 수 있으시길 바랍니다.
'소소한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헷갈리는 <실내 마스크 착용 해제> 한눈에 보기 (0) | 2023.01.30 |
---|---|
난방비 <가스비 절약 방법> 절약하는 7가지 팁 (2) | 2023.01.29 |
초간단 <남은 명절음식> 보관하는 방법 (0) | 2023.01.25 |
서울 경기도 <지하철 정기권> 교통비 절약 꿀팁 (0) | 2023.01.24 |
설 연휴 <무료 개방 공공주차장> 찾는 방법 (0) | 2023.01.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