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에서는 설 연휴 기간 동안 전국 1만 5,300개소의 공공주차장을 무료로 개방한다고 합니다. 공공기관, 행정기관, 교육청이 운영하는 주민센터, 학교 등 연휴에 사용되지 않는 장소 및 공간을 활용하여 편의를 제공하자는 취지인 것 같습니다. 이용가능 기간은 설 연휴 마지막날인 1월 24일까지 인데요, 그렇다면 무료로 개방하는 공공주차장의 위치를 찾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무료 공공주차장 검색 방법 및 유의사항
크게 공공서비스포털과 민간포털로 나눠지는데요, 검색 방법은 동일하기 때문에 스마트폰이나 PC 등에서 사용하시는 편한 방법으로 검색하여 찾으시면 될 것 같습니다.
공공서비스포털 : 공유누리, 공공데이터포털 등에서 검색 가능
검색어를 입력하실 때 공유누리 기준으로 주의하셔야 될 부분은 지하철역의 명칭으로 검색하시면 '검색결과 0건'으로 뜨기 때문에 그 지역에 없다고 판단하시고 그냥 지나치면 안 되고, 해당 지역명으로 검색하셔야 공공주차장 위치가 검색되니 검색이 안된다고 그냥 지나치지 마시고 유의하세요.
민간포털 : 카카오맵, 네이버지도에서도 검색 가능
민간포털에서는 반대로 지역명만으로 검색하는 게 아닌 지역명 뒤에 [무료 개방 주차장]이나 "무료주차장"에 관련된 문구가 들어가는 단어를 붙여서 검색하셔야 바로 무료 개방 주차장 위치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낙성대역 기준으로 주변을 찾아보니 공공서비스포털과 민간포털이 동일하게 [서울인헌초등학교]와 [서울미술고등학교]가 공공주차장으로 사용 가능하다고 검색되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그러니 기존에 쓰시던 익숙한 지도 서비스를 이용하셔도 전혀 문제 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연휴에 사람이 몰리는 곳에 운영되지 않는 공공기관을 사람들에게 공유함으로 편의를 제공하는 것이 정말 좋은 공공 서비스라고 생각됩니다. 이 공공서비스가 운영되기 전에는 연휴에 불법주차 등으로 사람들 간에 트러블이나 과태료 등 즐기러 간 명절 연휴에 기분 나쁜 일을 만들어오는 경우가 간혹 가다가 있었는데, 이젠 주차문제로 스트레스받을 일은 없어진 것 같네요. 다들 설 연휴 잘 보내시고 공공서비스 <무료 개방 공공주차장> 잘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소소한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하철 <개찰구 안 화장실> 찾는 2가지 방법 (0) | 2023.01.27 |
---|---|
초간단 <남은 명절음식> 보관하는 방법 (0) | 2023.01.25 |
서울 경기도 <지하철 정기권> 교통비 절약 꿀팁 (0) | 2023.01.24 |
프로그램 없이 <사진 PDF 변환> 저장하는 꿀팁 (0) | 2023.01.20 |
2023년 <연말정산> 일정 및 공제 팁 총정리(개인, 맞벌이 부부, 부양가족) (0) | 2023.01.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