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소한 생활 정보125 초간단 <남은 명절음식> 보관하는 방법 명절 잘 보내고 오셨나요? 명절을 즐겁게 보내는 이유 중 하나는 푸짐한 음식이라고 보는데요, 그만큼 명절이 지나고 난 뒤에 남은 명절 음식이 많으실 겁니다. 친척, 가족들과 나눠 싸가지고 돌아간 음식을 어떻게 보관하여 오래 먹을까 고민이 많으실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이번에는 명절음식을 어떻게 보관해야지 오래 보관하고 맛있게 다시 먹을 수 있을지, 주부님들뿐만이 아니라 우리 자취생들도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보관방법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전 및 튀김류 명절 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게 전입니다. 거기에 튀김까지 명절의 기름진 음식을 담당하고 있는데요, 산적꼬치전, 동그랑땡, 오징어튀김, 고구마튀김 등 남녀노소가 다 즐길 수 있는 음식이라 더 상징적인 음식이 아닐까 싶네요. 전과 튀김류는 기름에 굽거나.. 2023. 1. 25. 서울 경기도 <지하철 정기권> 교통비 절약 꿀팁 내일부터 연휴가 끝나고 다시 일상이 시작됩니다. 매달 월급 때가 되면 빠져나갈 돈에 대해서 걱정이 많으실 텐데요, 고정비용은 어쩔 수 없이 지출해야 되는 불가항력적인 존재입니다. 그중에 큰 금액은 아니어도 은근히 신경 쓰이는 교통비를 절약하는 방법인 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정기권 구매방법 지하철 정기권을 잘 모르실 수도 있는데요, 한 달(30일) 이내에 60회 횟수를 한정하여 이용할 수 있는 할인제도로 약 15% 의 할인된 금액으로 한 번 충전하여 한 달 동안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 충전을 위한 카드는 역 내부에 있는 역무실에서 현금으로 2,500원으로 직접 구매하셔야 합니다. 충전은 역마다 위치해 있는 승차권 발매기에서 충전하셔야 하는데, 정기권 충전방식은 서울전용 / 거리비례용 두 가지로 나눠집.. 2023. 1. 24. 설 연휴 <무료 개방 공공주차장> 찾는 방법 행정안전부에서는 설 연휴 기간 동안 전국 1만 5,300개소의 공공주차장을 무료로 개방한다고 합니다. 공공기관, 행정기관, 교육청이 운영하는 주민센터, 학교 등 연휴에 사용되지 않는 장소 및 공간을 활용하여 편의를 제공하자는 취지인 것 같습니다. 이용가능 기간은 설 연휴 마지막날인 1월 24일까지 인데요, 그렇다면 무료로 개방하는 공공주차장의 위치를 찾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무료 공공주차장 검색 방법 및 유의사항 크게 공공서비스포털과 민간포털로 나눠지는데요, 검색 방법은 동일하기 때문에 스마트폰이나 PC 등에서 사용하시는 편한 방법으로 검색하여 찾으시면 될 것 같습니다. 공공서비스포털 : 공유누리, 공공데이터포털 등에서 검색 가능 검색어를 입력하실 때 공유누리 기준으로 주의하셔야 될 부분은.. 2023. 1. 21. 프로그램 없이 <사진 PDF 변환> 저장하는 꿀팁 요즘은 자료가 곧 나의 자산이 되는 시대입니다. 업무를 하다 보면 결과물이나 참고자료 등을 작업할 때 정리하면 좋겠지만 그러지 못하기에 복잡하게 퍼져있는 자료들을 정리하는 것이 중요한 추가 작업이 되고 있습니다. 특히 사진 확장자 JPG 등 파일이 낱장으로 퍼져있을 때 이를 한 번에 보기 위해 PDF로 변환하여 한번에 자료를 저장하여 관리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프로그램을 사용한다면 편하겠지만, 만약 프로그램이 없는 분들을 위해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윈도우 자체 기능과 인터넷 변환 사이트를 통해 사진을 PDF로 변환하는 방법이 있다는 사실을 공유하여 추가 작업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1. 윈도우 자체 기능 활용 먼저 윈도우 기능으로 이미지 파일을 PDF로 변환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 2023. 1. 20. 2023년 <연말정산> 일정 및 공제 팁 총정리(개인, 맞벌이 부부, 부양가족) 13월의 보너스라고 불리는 연말정산 시즌이 돌아왔습니다. 연말정산이란, 1년 간의 총 근로소득에 대한 납부세액을 결정하는 것으로 근로자가 한 해 동안 얻은 수입에서 내야 할 세금을 정산할 때 수입이 많으면 세금을 추가로 지불하고, 세금이 많으면 근로자에서 돌려주는 것을 말합니다. 세금이라고 하면 벌써 복잡한데요, 그래서 2023년 연말정산을 어떻게 신청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정 및 기한 소득공제 / 세액공제 증명자료 확인 : 2023년 1월 15일 ~ 2월 15일 소득공제 / 세액공제 신청서 및 증명자료 제출 : 2023년 1월 20일 ~ 2월 28일 세액 계산 / 원천징수 영수증 발급 : 2023년 1월 20일 ~ 2월 28일 근로소득 지급 명세서 제출 : 2023년 3월 10일까지 누락분 경.. 2023. 1. 16. 이전 1 ··· 18 19 20 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