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봉협상2

N잡꿀팁 <2024년 최저임금 및 처벌> 한눈에 보기 근로자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월급, 연봉 등 임금이 가장 중요할 텐데요, 매년 물가 상승 등으로 인한 기본적인 상승 반영이 필요합니다. 이 물가 상승에 맞춰 국가가 근로자의 임금의 최저 수준을 정해 근로자를 보호하는 최저임금은 회사원뿐만이 아닌 아르바이트 등 다양한 근로자들의 임금 기준이 되는데요, 이를 어길 시 곧 법을 위반 한 것으로 처벌을 받게 됩니다. 그래서 매년 최저임금이 어떻게 상승하며 처벌, 대상 등 최저임금에 대한 정의를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CONTENT 최저임금 개요 2024년 최저임금표 최저임금 처벌 1. 최저임금 개요 정의 : 국가가 임금의 최저 수준을 정하고, 사용자에게 이 수준 이상의 임금을 지급하도록 강제함으로써 저임금 근로자를 보호하는 제도 적용기간 : 2024년 1.. 2024. 4. 4.
2023년 <연봉 실수령액> 한눈에 보기(+ 최저임금 연봉 월급) 연봉협상의 시즌이 다가온 것 같습니다. 이미 연봉협상을 하셨거나 연봉협상을 준비하고 계신 분들은 본인이 실수령할 수 있는 금액이 얼마인지를 가장 궁금해하실 것 같은데요, 연봉별 세전월급·공제내용(세금)·실수령액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3년 4대 보험 요율 연봉 실수령액을 알기 위해 우선 직장인들의 4대 보험 요율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국민연금 : 소득총액 × 4.5% 건강보험 : 보수월액 × 3.545% 장기요양보험 : 건강보험 × 12.81% 고용보험 : 소득월액 × 0.9% 2023년 연봉 실수령액표 연봉 수령액표는 500만원 단위로 끊어서 작성했고, 공제합계는 국민연금·건강보험·장기요양보험·고용보험·소득세·지방소득세를 합쳐서 계산했습니다. 2023년 연봉 실수령액 (단위 : 원) .. 2023. 1.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