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톡 친구화면에서 가족이나 친구, 지인 등의 생일이 되면 알람이 뜨는데요, 보통 카카오톡에서 바로 선물이 가능한 '카카오 선물하기' 기능을 사용해 선물을 주고 받고 합니다. 근데 이 '카카오 선물하기' 기능을 사용할 때 결제방식을 카카오페이로 결제하는데, 카드등록을 해둬서 체크 및 신용카드로 결제하면 상관없지만 현금을 충전해서 결제하는 방식을 많은 분들이 사용합니다.
근데 이 현금을 충전해 사용할 때 현금영수증이 발행되면 연말정산 때 30%를 소득공제 받을 수 있는데, 카카오에서 현금영수증을 자동으로 등록해주지 않습니다. 즉, 직접 현금영수증 발급을 등록해야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이 '카카오 선물하기' 현금영수증 발급 등록하는 방법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카카오톡 선물하기 현금영수증 설정방법
1. 카카오톡 친구화면이나 채팅화면 우측 상단에서 톱니바퀴 모양의 설정을 누르면 메뉴가 뜨는데 거기서 '전체 설정' 을 선택해 설정화면을 활성화 해줍니다.
2. 활성화된 설정화면에서 '개인 / 보안' 선택해줍니다. 활성화된 '개인 / 보안' 화면에서 '보관함 - 내 결제' 부분을 선택해줍니다.
3. '내 결제' 화면에서 '현금영수증 발행정보 관리'를 선택하면 '현금영수증 관리' 화면이 활성화 되는데요, 현금영수증 관련해서 등록된 정보가 없다고 뜹니다.
'등록하기'를 선택해서 개인소득공제 휴대폰 번호를 입력하고 하단부에 '현금영수증 발행을 위한 정보수집에 동의'를 체크하신 후 확인해줍니다.
4. 등록을 완료시킨 후 다시 '내 결제' 화면에서 '현금영수증 발행정보 관리'를 선택해 개인소득공제 정보가 잘 등록됬는지 확인해주면 완료됩니다.
'카카오톡 선물하기' 기능에서 카카오페이로 결제하면 당연히 현금영수증이 발행될 것이라고 생각하고 모르고 있었는데, 오늘 알려드린 방법으로 알아보니 등록된 정보가 없어서 당황스러웠습니다. 저와 마찬가지로 많은 분들께서 놓치고 있는 부분이라고 생각되는데요, 연말정산에서 소득공제에 있어 신용카드는 15%지만 체크카드 및 현금영수증은 30%가 공제된다는 점 꼭 확인하고 넘어가야 됩니다.
그러므로 이번에 알려드린 카카오톡 선물하기 현금영수증 등록하는 방법을 사용하셔서 연말정산에 많은 환급금 챙기시길 바랍니다.
'소소한 쇼핑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헷갈리는 2023년 4월 <대형마트 휴무일> 한눈에 보기 (0) | 2023.04.01 |
---|---|
스타벅스 러브 유어 라떼 <카페 라떼 샷 무료 추가> 이벤트 한눈에 보기 (0) | 2023.03.15 |
3일간 <스타벅스 아메리카노> 2,500원 판매 (0) | 2023.02.19 |
힙한 아이템 <업사이클링 브랜드> 3가지 (0) | 2023.02.18 |
프랜차이즈 카페 <통신사별 할인 및 혜택> 한눈에 보기 (0) | 2023.02.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