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보건복지부에서 실시하는 산후조리 실태조사를 보면 산후조리를 위해 가장 바라는 정책으로 '산후조리 경비지원'이 70% 가 넘는 비율로 압도적 1순위를 차지했습니다. 이처럼 출산 및 육아에 대해 사회적 시선이나 건강 등 걱정도 있지만 제일 큰 걱정은 경제적인 부분이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한다고 보는데요, 이런 걱정을 해소하고자 서울시에서 모든 출산가정에게 100만원의 '산후조리경비'를 지원한다고 합니다. 이뿐만이 아니라 고령산모 검사비, 둘째 출산 시 첫째아이 돌봄지원 등 다양한 후속 지원 사업도 시행한다고 밝혔는데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CONTENT
- 사업개요
- 지원내용
- 신청방법 및 지급절차
- 후속 지원 계획
1. 사업개요
- 지원대상 : 서울시 거주 6개월 이상 산모, 서울시 출생신고 (2023년 7월 1일 이후 출생아부터 신청 가능)
- 신청일시 : 2023년 9월 1일(금)부터 ~
- 지원내용 : 100만원 바우처 포인트 지급
- 신청방법 : 온라인 신청(서울맘케어) 및 거주지 동주민센터 방문신청
반응형
2. 지원내용
- 지원방식 : 산모 신용·체크카드에 아래 3가지 지원내용에 한정하여 사용가능한 100만원 바우처 포인트 지급
구분 | 지원내용 | 사용가능 바우처 포인트 |
① | 산모, 신생아 건강도우미 서비스 개인 부담금의 90% 지원 | 50만원 상당의 바우처 |
② | 의약품, 한약조제, 건강식품 구매 | 50만원 상당의 바우처 |
③ | 산후 운동수강 서비스 (몸건강) 체형교정, 전신마사지, 붓기관리, 탈모관리, 요가, 필라테스 (마음건강) 산후우울증 검사 및 상담치료 |
산후조리원과 업종코드가 분리되고 별도 결제가 가능한 경우, 산후조리원 내 붓기관리, 체형교정 서비스 등에도 사용가능하다고 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3. 신청방법 및 지원절차
- 신청방법 : '서울맘케어(www.seoulmomcare.com)'에서 온라인 신청 및 거주지 동주민센터 방문 신청
지원 신청 및 지급 절차 | ||||||
산모 (지원 신청) |
▶ | 서울맘케어 시스템 (자격 확인) |
▶ | 카드사 (지급) |
▶ | 산모 (사용) |
온라인/방문신청 (서울맘케어, 동주민센터) |
동주민센터 자격확인 및 지급결정, 카드사에 결과 전송 |
(기존) 포인트 지급 (신규) 카드제작·발송 |
카드사용 |
4. 후속 지원 계획
현재 진행 중인 사업 이외에도 출산 및 육아 장려를 위한 추후 후속 지원계획 일정(예정)입니다.
사업명 | 대상 | 소득기준 | 지원금액 | 사업시행일 |
고령산모 검사비 지원 |
서울시 거주 35세 이상 산모 |
없음 | 최대 100만원 | 2024년 1월 ~ |
둘째 출산 시 첫째아이 돌봄지원 |
둘째이상 출산가정 |
중위소득 150% 초과 |
아이돌봄서비스 본인부담금 50% 지원 |
|
중위소득 150% 이하 |
아이돌봄서비스 본인부담금 전액지원 |
출산을 하거나 육아를 하는 중에 육체적으로나 정서적으로 회복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이런 산후조리경비 비용이 만만찮은 관계로 경제적 부담으로 다가올 수 있는데요, 서울시의 '산후조리경비'는 이런 산모들에게 충분한 돌봄의 기회를 제공하여 육아와 삶의 질이 향상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으로 보입니다. 모든 산모에게 지원하는 사업인 만큼 출산 예정인 산모분들은 신청하셔서 산후조리를 부담 없이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소소한 지원금 받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통비 지원 <경기도 청소년 교통비 지원> 한눈에 보기 (0) | 2023.09.04 |
---|---|
서울 <출산 육아 지원 혜택 총정리> 한눈에 보기 (0) | 2023.08.31 |
서울시 <난자동결 시술비용 지원> 한눈에 보기 (1) | 2023.08.28 |
서울시 <육아 휴직 장려금 최대 240만원 지원> 한눈에 보기 (1) | 2023.08.18 |
서울시 <조부모 아이돌봄비 지원> 한눈에 보기 (0) | 2023.08.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