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소한 생활 정보

생필품 교환 <폐건전지 및 종이팩 교환사업> 한눈에 보기

by 라곰하우스 2023. 8. 25.
반응형

건전지를 다 쓰거나 우유를 다 먹고 남은 종이팩을 재활용 분리수거를 위해 모아놨다가 날짜에 맞춰 분리수거장에 버리는데요, 이렇게 버려지는 재활용품들을 새건전지나 휴지, 쓰레기봉투 등 다양한 새 생필품으로 교환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고 합니다. 어차피 분리수거를 위해 모아둔 재활용품들을 그대로 근처 동사무소에 제출하면 해당 지자체의 기준에 따라 제공하는 방식인데요, 어떻게 교환되는지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CONTENT

  1. 폐건전지 종이팩 교환사업이란?
  2. 재활용품 교환 기준 (예시)
  3. 생필품 교환 방법

 

1. 폐건전지 종이팩 교환사업이란?

  • 폐건전지 : 수은 등 인체에 해로운 중금속 유해물질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고, 리튬 계열의 전지는 특히 충격 및 수분에 민감하기 때문에 화재시 불꽃이 튀어 대형화재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분리수거가 필요합니다.
  • 종이팩 : 일반 종이 및 폐지와 다르게 우유 등의 종이팩은 멸균 등 특수 처리가 되어 재활용의 가치가 매우 높습니다.

 

반응형

2. 재활용품 교환 기준 (예시)

재활용품을 생필품으로 교환해주는 기준이 지자체마다 다르게 잡혀있어서 예시로 어느 정도의 재활용품으로 어떤 생필품을 교환할 수 있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교환 기준 재활용품 기준 교환 생필품 목록
종이팩 - kg 당
: 0.5 ~ 1 kg 당 생필품 교환
- 매수 당
: 200ml 100매, 500ml 55매, 1000ml 35매당 생필품 교환 
- 화장지 1롤
- 건전지 1세트(2개)
- 종량제봉투 10L
- 수세미
- 기타 등등
폐건전지 - 10개 당 / 20개 당
- 수은전지(납작한 건전지)는 5개당 건전지 1개로 계산

1일 1회 최대 교환 수량도 정해져 있다고 하니 확인해보시고 교환하시기 바랍니다.

 

3. 생필품 교환 방법

대부분의 지자체에서 "폐건전지 및 종이팩 교환사업"을 시행하고 있지만, 지자체별로 지원시기와 보상내용이 상이하니 꼭 확인해 보시고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 교환방법 : 재활용품을 기준에 맞춰 수거하고, 각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자원순환과에 방문하여 생필품과 교환
  • 지원여부 확인 : (온라인) 각 시/도 홈페이지에서 "폐건전지" 검색 / (오프라인) 근처 행정복지센터 자원순환과에 전화하여 사업 시행여부 확인

 


 

폐건전지로 인해 토양의 중금속 오염이나 화재 발생 등 다양한 뉴스를 접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가 어릴 적 우유급식을 하고 꼭 우유 종이팩을 씻어서 접어 재활용을 했던 기억이 있으실 겁니다. 이처럼 폐건전지와 종이팩은 재활용의 이유와 가치가 매우 높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국가적으로 수거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여 수거하고 있는데요, 어차피 분리수거를 위해 모아둔 재활용품을 일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생필품으로 교환할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됩니다. 주변 지자체 행정복지센터에서 재활용품 교환사업에 대한 문구를 보신다면 적극 참여하셔서 생필품을 얻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