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내일채움공제3 2023년 경기도 <청년 복지포인트(1년간 120만원)> 한눈에 보기 경기도에서 중견 및 중소기업 청년노동자의 복지향상을 위해 '경기도 청년포인트' 사업 지원자를 받는다고 합니다. 4월 17일(월) 18시까지 만 18세 ~ 34세 청년 12,000명 내외를 1차로 선정해서 1년간 120만원 복지포인트를 지급한다고 하는데요, 정말 좋은 것은 국가청년지원사업인 내일채움공제, 청년재직자내일채움공제, 청년내일채움공제 사업 참여자도 중복참여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그러니 지원요건만 된다면 누구든 받을 수 있는 지원금이니 지원사업 신청 개요 및 자격 요건 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신청 개요 2023년 청년 복지포인트 신청 개요 접수기간 (일정은 추후 변경 가능) 1차 : 2023년 4월 1일(토) ~ 4월 17일(월) 2차 : 2023년 7월 1일(토) ~ 7월 17일.. 2023. 4. 8. 2023 <청년내일채움공제 중도해지> 환급금 알아보기 이전에 알아본 중소기업에서 목돈마련을 위한 청년내일채움공제는 2년 이상의 시간을 중소기업 회사에서 보내면서 업무적인 스트레스나 직장 사람들과의 관계 문제 등으로 퇴사를 결심하거나 회사의 귀책사유로 어쩔 수 없이 회사를 그만둬야 하는 경우 청년내일채움공제를 중도해지 해야 되는 경우가 생깁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는 중도해지하면 지원금 및 적립금이 사라지는 것이 아닌 해지 시점 상황이나 요건에 따라 환급금이 달라지는데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청년내일채움공제 중도해지 했을 경우 환급금이 정확이 어떻게 얼마나 들어오는지 파악하셔서 퇴사각을 보시는데 도움이 되도록 알아보겠습니다. 중도해지 시 환급금 환급금 지급 사유는 공제부금이 적립된 이후 계약취소 / 청약철회 / 중도해지 경우에만 해당됩니다. .. 2023. 2. 6. 2023 <청년내일채움공제> 한눈에 보기(지원내용 및 신청방법) 사회생활을 시작하면서 목돈을 마련할 기회가 많지 않은데요, 2년간 본인 400만원을 납부하면 기업 및 정부에서 800만원을 채워줘서 총 1,200만원+이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기회가 있습니다. 바로 중소기업(제조업, 건설업)에 신규취업하신 분들에게만 제공되는 입니다. 지원대상과 지원내용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하는데요, 정규직이 되고 채용일로부터 6개월 이내에 신청해야지 지원대상이 되기때문에 빨리 확인하셔서 신청하는데 지장이 없으시길 바랍니다. 지원대상 단순히 목돈 마련을 위한 취업자에게 유리한 뿐만이 아닌 기업에서도 우수인력의 고용유지가 가능하게 됨으로 서로 윈윈 할 수 있는 사업인데요, 국가사업인 만큼 지원대상이 정해져 있으니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청년 : 만 15~34세의 청년으로 제조·건설.. 2023. 2. 5. 이전 1 다음